먼저 아두이노란 '다양한 센서나 부품을 연결할 수 있고 입출력, 중앙처리장치가 포함되어 있는 기판'이라는 정의를 가지고 있습니다. 이를 쉽게 요약하여 풀이하면 프로그램으로 자신이 상상하는 것을 쉽게 실현시켜 줄 수 있는 도구라고 생각하면 됩니다.
아두이노, 상상을 현실로 만드는 프로젝트: 입문편 : 네이버 도서
네이버 도서 상세정보를 제공합니다.
search.shopping.naver.com
(이 글은 해당 도서의 내용을 기반으로 작성되었습니다.)
먼저 아두이노라는 것이 무엇이고 어떻게 활용하는지를 설명하려 했지만 "백문이 불여일견"이라고 직접 조작을 해보고 설명하는 것이 더 좋을 것이라 판단하여 이번 포스팅에서는 가장 기초적인 LED를 다루는 것부터 해볼 것입니다.
아두이노 프로그램은 아래 사이트에서 다운받을 수 있습니다.
아두이노 연결에 대한 내용은 아래 포스팅을 참고하면 좋을 것 같습니다.
https://sweetnew.tistory.com/76
[Arduino] PC에 아두이노 연결하기
PC에서 소스파일을 작성한 후에는 아두이노에 다운로드하여야 한다. 이를 위해 아두이노 보드를 USB 케이블을 이용해 PC와 연결해 준다. USB 케이블을 아두이노 보드의 'USB 커넥터'에 연결하고, 반
sweetnew.tistory.com
(내 블로그는 아니고 그냥 구글링 첫번째 결과라서 첨부했습니다.)
이제 기본 LED를 조작해보겠습니다.
먼저 지금 제어하고자 하는 기본 LED는 다음 사진에서 표시하는 부분에 있습니다.
이제 기본 LED를 깜빡이게 하는 기본 예제를 사용해볼 것입니다.
[파일]-[예제]-[01.Basics]-[Blink] 메뉴를 선택합니다.
이런 프로그램이 떠야합니다.
위의 코드의 내용은 보류하고 [확인] 버튼을 눌러 에러가 나는지 확인합니다.
다음으로 [업로드] 버튼을 눌러줍니다.
메시지 영역에 업로드(컴파일) 완료라고 뜨면 아두이노 UNO의 기본 LED가 1초마다 켜졌다꺼졌다 합니다.
delay 함수)
위의 문장은 아두이노 보드를 1초 멈추라는 뜻입니다.
Blink 예제에서 밀리세컨드의 값을 조절하면서 실행해보면 직접적으로 코드가 와닿을 것입니다.
다음 포스팅은 [시리얼 통신]에 대한 포스팅입니다.
(본 아두이노 시리즈는 5년 전 학창 시절에 작성했던 아두이노 강좌를 토대로 재작성하는 포스팅입니다.)
아두이노 강좌 입문편 #1 (기본 LED 제어)
먼저 아두이노란 '다양한 센서나 부품을 연결할 수 있고 입출력, 중앙처리장치가 포함되어 있는 기판' 이라...
blog.naver.com
'아두이노 > 아두이노 기초'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아두이노 강좌 입문편 #3 (LED 제어하기) (0) | 2023.07.20 |
---|---|
아두이노 강좌 입문편 #2 (시리얼 통신 + 저항 읽는 법) (0) | 2023.07.16 |